IN BETWEEN 0.013 SECONDS 찰라찰라
Solo Exhibition at Sehwa Museum of Art(Seoul, 2019)

*List of Works:
-A Prophet’s Words 예언가의 말_ single channel video_13min 30sec_2018
-In Silence 말없이_single channel video_4min 45sec_2001
-INTERPENETRATION: a travel crossed the folded space 상호침투: 접힌 공간을 가로지르는 여행_video installation_2016
-A Man Who Became a Landscape#4-6 풍경이 된 사람#4-6_single-channel video_24min 13sec, 23min 38sec, 17min 12sec_2019


*Essay written by Hanbeom Lee (Art Critic)



Artist Statement
September 2, 2019, 6 a.m.

The meaning of the exhibition in between 0.013 seconds is a call for us to think about
the eternal transience that exists in between instants (chalna or ksana) and to look at ourselves (as individuals and people) living in the present day. I was able to prepare this exhibition after the Sehwa Museum of Art invited back some of the works shown at my
A SOMNAMBULANCE solo exhibition 18 years after it was staged at Ilju Art House, an exhibition space located at the time in the Heungkuk Life Insurance building lobby. During my time preparing for the exhibition, I took part in an artist residency run by a whiskey distillery in Scotland’s Speyside region, where I also developed works in the A Man Who Became a Landscape series that will be newly shown alongside the selected exhibition pieces.

As some of you may have intuited, the Korean-language exhibition title Chalna Chalna is a word that rhythmically represents the act of something repeatedly striking the surface of water, or the repeated waves of sound heard when ripples of waves reach a certain object. With their repetitive movements, these ripples are a form of energy that causes changes
in a quiet water surface, but they are also a trembling upon that surface that harbors the potential to create enormous waves.

Most of the works shown in this exhibition are past pieces, four of which I selected to create the exhibition. As I was developing the exhibition, I took great care in my selection—rather than allowing it to skew too pedantic or conceptual, I hoped they would be works perceived as meaningful by people living today in this place that is Korea.

As we stand on the threshold of the 2020s, we are aware of how things across the world seem to be continuing to spiral toward division and disaster due to the foolish instigations and acts of people making selfish determinations. We are also facing unusual and unexpected temperatures and various other forms of environmental disaster.

I had an imagination as I prepared for this exhibition. If in the very distant future—perhaps eons from now—some other intelligent species were to appear, what sort of view would they take, what sort of assessment toward us Homo sapiens living today? What would these future species think of Homo sapiens conquering and slaughtering other members of its species to suit its own group’s convenience and interests, or indiscriminately exploiting the earth’s resources and sending Gaia hurtling toward a catastrophe of their own making?

As troubling as it is, all of us—including those of you attending this exhibition—are speeding toward disaster, like the human race designating its own species as “Homo sapiens” or “wise man.” My hope is that this small ripple can create a wise transformation.


작가노트
2019년 9월 2일 오전 6시

‘찰라찰라 (in between 0.013 seconds)’는 찰나(刹那)의 시간 사이의 영원한 시간성을 생각하며, 현재를 살아가는 나/우리를 바라보자는 의미를 지닌 전시이다. 이 전시는 이 곳 세화미술관이 흥국생명 로비에 위치한 전시 공간이었던 일주아트하우스에서 2001년 개인전 ’몽유’전을 개최한지 18년이 지난 올해, 다시 ‘몽유’전에 출품한 작품 일부를 초대하면서 이 전시를 준비할 수 있었다. 전시준비하는 기간동안 나는 잠시 스코틀랜드 스페이사이드 지역에 위치한 위스키 제조 증류소에서 운영하는 아티스트 인 레지던스에 참가중에 있었으며, 이 기간동안 전시 출품작 선정과 함께 새롭게 선보이게 되는 ‘풍경이 된 사람’ 시리즈를 추가로 작업하였다.

전시타이틀 ‘찰라찰라’는 여러분들이 직관적으로 감지했듯이, 물의 표면을 반복적으로 두드리는 행위 혹은 물의 파장이 어느 사물에 다다랐을때 들리는 반복적인 소리의 파장을 운율화 한 어휘이다. 반복적인 운동성을 지닌 파장은 잔잔한 물의 표면에 변화를 일으키는 ‘에너지’이기도 하지만 거대한 파도를 만들어내는 가능성을 내포한 표면위의 ‘떨림’이기도 하다.

이번 전시에 선보이는 작품 대부분은 지금까지 작업하였던 작품들로, 나는 4개 작품을 선별하여 전시 구성하였다. 작품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나는 이 전시가 너무 현학적이거나 관념적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현재 우리가 딛고 있는 이 땅에 살고있는 이들에게 의미로 다가갈 수 있는 작품이 되기를 기대하며 고심하여 선별하였다.

2020년대를 눈앞에 두고있는 현재 우리는 여전히 이기적인 판단을 하는 인간의 어리석은 선동과 행동으로 전지구적으로 분열과 파국으로 치닫고 있음을 알고 있다. 더불어 예상치 못한 이상기온 뿐 아니라 다양한 환경 재앙을 맞이하고 있다.

나는 이번 전시를 준비하면서 하나의 상상을 해보았다.
아주 먼 미래. 아마도 겁(劫)의 시간이 지난 후, 지적지능을 지닌 다른 종들이 출현한다면, 현재 우리 ‘호모 사피이엔스’를 이들은 어떻게 바라보며 진단할까? 호모 사피엔스 그들이 속한 집단의 편의와 이익을 위해 같은 종족인 호모 사피엔스를 정복하고 살인하며 지구의 자원을 무분별하게 사용하면서 결국 가이아(GAIA)로 하여금 그들 스스로 파멸로 이끈 이 들을. 미래의 다른 종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씁쓸하지만 인간 스스로 본인이 속한 종을 ‘호모 사피엔스’라 칭한 것처럼, 이 전시를 관람하고 있을 여러분들은 파국으로 치닫고 있는 현재. 슬기로운 변화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 작은 파동이 되길 희망해 본다.




   A Prophet’s Words(2018)

   In Silence(2001)

   INTERPENETRATION(2016)

   [left] In Silence(2001)
[right] the circle of INTERPENETRATION(2016)

   the triangle and the square of INTERPENETRATION(2016)

   the square of INTERPENETRATION(2016)

   [left] the square of INTERPENETRATION(2016)
[right] A Man Who Became a Landscape #4-6(2019)